[웹/앱개발 종합반] 1주 1일차 개발일지Permalink


💻TIL Web.101Permalink

1. 웹서비스의 동작 원리Permalink

1) 내가 보는 웹 페이지만 내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

2) 인터넷을 끄는 순간 바로 홈페이지가 다운되지는 않는다. 어딘가로 이동하거나 무언가를 클릭하면 그제서야 인터넷이 끊겼다고 뜬다. 내가 보고 있는 이 페이지는 사실 인터넷 연결과 관련이 없다.

3) 내가 바꾼 웹 페이지를 새로고침하면 다시 원래대로 돌아온다.


2. 브라우저의 역할Permalink

1) 서버에게 요청(url 입력 등)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그릴 것(데이터)을 준다. 실제로는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만 받아와서 페이지 새로고침 없이 데이터만 갈아끼우는 경우가 더 흔하다.

2) 서버가 준 결과물(HTML, CSS, JS 코드) 받아서 화면에 구현


3. HTML은 뼈대, CSS는 꾸미기, JS는 움직임 담당Permalink


📱TIL App.101Permalink

앱 서비스를 만드는 것은 클라이언트(사용자가 보는 앱 화면)와 서버(데이터를 담는 곳) 모두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안드로이드와 iOS는 운영 체제가 다르기 때문에 안드로이드는 Java, Kotlin, iOS는 Swift를 사용해 앱을 개발한다. 우리는 이렇듯 각 운영체제에 맞는 언어를 사용해 개발하는 네이티브 앱 대신, 자바스크립트 기반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인 리액트 네이티브(React.js)를 사용해 두 플랫폼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크로스 플랫폼 앱을 만들 예정이다. 그 외 웹 기술로 앱을 개발하는 하이브리드 앱도 있다.

자바스크립트의 Variable(변수)과 Array(List/배열), Object(Dictionary/객체) 설정, 조건문과 반복문, 기본 함수 설정에 대해 간략히 배웠다. Conditionals, Arrays, Loops, Functions, Objects 개념노트 링크 읽어보기! ‘리터럴 함수 정의(Function declaration)’ 부분을 추가했다.


🔌Yendoz log.101Permalink

이미 30 Days of JS로 자바스크립트 공부를 하던 중에 강좌를 시작해서인지, 첫날인 오늘 강좌는 생각보다 험난하지는 않았다. 웹개발 강좌에서는 1일차인 오늘 간단한 웹 서비스의 동작 원리와 HTML, CSS, JS에 대한 요약, 앞으로 배우게 될 내용 등을 전반적으로 알아봤다. 웹개발과 앱개발 모두 강의 때 필요한 자료를 설치하고, 커리큘럼을 소개하는 OT 형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었다.

나는 첫 국비지원으로 스파르타코딩의 웹개발 종합반, 앱개발 종합반을 함께 신청했다. 처음 HTML과 CSS를 ‘비전공자를 위한 첫 코딩 챌린지’ 책으로 접해 간단한 사이트를 만들어봤지만, 이후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며 개념을 익히고 예제를 푸는 재미에 빠져 실제로 무언가를 만드는 일은 잊고 있던 차였다. SQL 강좌도 끌렸지만, 일단은 제대로 작동되는 서비스를 완성해보고 싶었다. 최종 목표는 하나의 서비스를 웹과 앱의 형태로 연동 가능하게 구현하는 것!

웹개발 종합반은 HTML과 CSS, 자바스크립트에 MongoDB 서버 부분까지 한 사이클을 돌면서 웹 페이지를 만드는 과정이고, 앱개발 종합반은 자바스크립트 기반 React Native를 사용해 안드로이드와 iOS 호환이 가능한 앱을 만드는 과정이다. 기본적인 내용은 복습하는 자세로, 새로운 내용은 반복해서 얼른 내 것으로 만들고 싶다. 만들고 싶은 서비스가 있어서 그걸 내 손으로 만들어볼 생각에 벌써 두근두근하다:)

일단 강의 하나당 시간이 길지 않은 만큼 하루에 소화할 수 있는 만큼 소화해볼 생각이다. 하루치 강의가 8개로 한정되어 있는데, 1일차인 오늘은 설치와 안내 영상이 대부분이라 얼른 내일이 왔으면 좋겠다. 30 Days of JavaScript도 강의를 들으면서 마저 완료할 생각이다. 한 바퀴 훑고 나서는 다시 개념 복습하면서 강의도 들을 예정!

하나 조금 아쉬운 점은, 내가 자바스크립트 개념을 영어로 공부해서인지 객체, 참조 이런 한국어 표현들이 아직은 조금 낯설다는 것. 30 Days of JavaScript에서 배운 내용을 노트정리하듯 블로그에 적어뒀으니, 강의에서 배웠던 내용이 나오면 해당 글로 가서 추가하는 방향으로 일지를 작성할 계획이다. 사실 이 글도 영어로 적어야 하나 고민했지만 일단은 한글로 썼고, 앞으로는 적당히 섞어서 쓸 것 같다.

5주간 하나의 서비스를 런칭하는 강좌라 그런지 개념 설명이 책처럼 자세하지는 않고, 필요한 개념만 쏙쏙 뽑아서 개괄적으로 설명해주시는 방향의 강좌다. 그럴수록 더 궁금한 점은 스스로 공식 문서나 블로그, Stackoverflow 찾아가며 뒤져야 한다. 이것저것 바꿔보고 찾아가면서 열심히 배워보자!


Categories:

Updated:

Leave a comment